건강 &스포츠
티스토리 가기
“한 개 팔면 얼마 남나요?” 이 단순한 질문에 대부분의 초보 셀러는 정확하게
대답하지 못합니다.
스마트스토어나 위탁판매, D2C 운영까지 **매출과 수익은 다릅니다.**
이
콘텐츠에서는 **상품 마진, 네이버 수수료, 광고비, 정산 주기**까지 진짜 투자자의
시선으로 수익을 분석하는 실전 계산법을 안내합니다.
1. 소개 및 개요
매출은 높아졌는데, 정산받고 나면 남는 게 없다고 느낀 적 있으신가요?
그렇다면 수익구조를 제대로 계산해본 적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.
**실제 수익률은 단순한 판매가 - 원가가 아닙니다.**
판매 수수료, 포장·배송비, 광고비, 정산 지연까지 모두 반영해야 **실제로 남는
순이익(Profit)과 ROI(Return on Investment)**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을 통해 수익 구조를 **한눈에 분석하는 공식**과 **자동화 계산 방식**까지
실전 중심으로 알려드립니다.
2. 수익 계산 핵심 공식
✅ 기본 마진 계산 공식
순수익 = 판매가 - (상품원가 + 포장비 + 배송비 + 마켓 수수료 + 광고비)
✅ 수익률 계산
수익률(%) = 순수익 ÷ 판매가 × 100
✅ ROAS(광고 수익률)
ROAS = (광고 매출 ÷ 광고비) × 100
예를 들어, 판매가 25,000원, 원가 10,000원, 배송비 3,000원, 수수료 2,000원,
광고비 4,000원이라면:
- 순수익: 25,000 - (10,000+3,000+2,000+4,000) = **6,000원**
- 수익률: 6,000 ÷ 25,000 × 100 = **24%**
3. 수익 계산 실전 단계
3-1. 상품별 원가 정리
- 순수한 도매 원가 - 포장 자재비 (박스, 비닐, 완충재 등) - 입고·보관 비용 (자사창고 또는 위탁센터) 이 모든 게 **상품당 원가**에 포함되어야 정확합니다.
3-2. 판매 수수료 구조 파악
스마트스토어 기준:
- 기본 수수료: 평균 6~15% (카테고리에 따라 다름)
- 추가 광고 수수료(클릭당 또는 노출당)도 있음
쿠팡 로켓배송, 인터파크, 11번가 등도 **수수료율이 다르므로 개별 확인** 필요
3-3. 광고비 반영
많은 셀러가 **수익 계산에서 광고비를 빼먹습니다.**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,
브랜드광고, 쇼핑파트너스 등
- 클릭당 비용: 50~400원 - 광고 ROAS 평균: 300~500%
→ 광고로 유입된 주문인지 파악해 **부분적으로 반영**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.
3-4. 정산 주기와 캐시플로우
정산은 주문 확정 후 3~7일 후 이루어집니다.
- 스마트스토어: 구매확정 후 3영업일 - 쿠팡: 매주 금요일 정산
→ **현금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** 상품회전률과 정산시점을 고려한 운영 전략이
중요합니다.
4. 운영 시 유의사항
- 높은 매출 = 높은 수익이 아님
- 수익률 10% 미만이면 광고를 집행할수록 손해일 수 있음
- **리뷰 이벤트, 쿠폰 할인, 무료배송** 등도 실제 마진에 영향을 줍니다
👉 따라서 **상품 등록 전부터 수익 구조를 계산하고 진입**하는 것이 시간, 비용,
리스크를 줄이는 핵심입니다.
요약 및 결론
수익 계산은 단순한 수학이 아니라 **사업 전략의 핵심 도구**입니다.
아무리 많이 팔아도, 남는 돈이 없다면 사업은 오래 가지 못합니다.
오늘 소개한 수익 계산 공식을 통해 내 상품의 진짜 수익률을 수치로
파악해보세요.
**투자자의 눈으로 수익을 분석하고, 실전에 강한 셀러**로 성장해보시길 바랍니다.
실행 체크리스트
① 상품 원가 + 부대비용 정리
도매가, 포장, 택배비, 위탁비용 등 포함한 단가 확인
② 플랫폼 수수료 파악
스마트스토어/쿠팡/11번가 등 플랫폼별 수수료 차이 정리
③ 광고비 반영한 수익률 계산
클릭형 광고 ROAS 분석, 광고 유입 비율 계산
④ 정산 주기별 현금흐름 분석
매출은 있지만 현금은 부족한 구조인지 체크